일이 없는 家

개화기 시대 간행물 본문

기타/상식

개화기 시대 간행물

자발적 막노동 2011. 12. 1. 11:16
만세보
  1906. 6. 17. 천도교에서 창간한 신문
  반민족적인 일진회 비판
  이인직의 신소설 "혈의 누" 연재
  1907년 이인직은 이를 친일 내각의 기관지인 대한신문으로 변경

태서문예신보
  1918. 9. 한국 최초 주간문예지
  "소년", "청춘" 등 신문학 초기 잡지와 "창조"로 시작되는 문예지의 중간 성격을 띤 잡지
  서구문예의 도입·소개에 주력
  김억의 번역시와 시론을 통한 상징주의 도입은 근대시 형성에 큰 영향
  한국 근대문학 개화에 공헌
 
장미촌
  1921. 5. 24. 선교사 필링스가 창간한 한국 최초의 시 동인지(정기 간행물)

창조
  현대문학기 최초의 문예 동인지
  1919. 2. 도쿄에서 창간
  김동인·주요한·전영택·김환
  김동인-리얼리즘에 입각한 순문학(純文學)을 제창
  순문학(구어체 확립, 계몽문학 배척)

폐허
  일제 강점기의 문예 동인지
  1920. 7. 25.에 창간호(1921. 1. 20. 간행)
  대표적인 동인-염상섭,오상순,남궁벽,김억,황석우,민태원 
  퇴폐적 내지 낭만적 경향
  염상섭-자연주의 경향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문학의 영향
 
백조
  1922. 1. 순수 문예지
  초기 낭만주의 문학운동의 중심적 구실
  홍사용, 현진건, 이상화, 나빈, 박종화, 박영희, 노자영
  "폐허"의 동인들과 흡사한 퇴폐·염세·감상·낭만적 작품 발표

조선문단
  1924. 9. 
  방인근·이광수 등이 창간
  민족주의적 경향의 순문예지
  추천제를 두어 신인 배출
 


'기타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작가들(위키내용 정리)  (0) 2011.12.01
계몽주의  (0) 2011.12.01
컴퓨터 보안 평가 지침서(TCSEC)  (0) 2011.11.30
DRM  (0) 2011.11.30
낭만주의  (0) 2011.11.30